매월 70만 원씩 5년간 저축하면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요. 이번 달에만 8만 8000명이 새롭게 가입하면서, 2023년 6월 출시 이후 누적 가입자 수가 182만 3000명에 달했어요. 청년도약계좌의 혜택과 가입 방법을 정리해 봤어요!
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이에요.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정부 기여금과 높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최대 5000만 원까지 마련할 수 있어 청년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준답니다.

청년도약계좌의 혜택
1. 높은 금리와 정부 기여금
기본 금리는 최대 6%이며, 정부 기여금까지 더하면 사실상 연 9.54%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. 정부 기여금은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, 올해부터는 월 최대 3만 3000원까지 지원된다고 해요.
2. 비과세 혜택
청년도약계좌의 또 다른 장점은 만기 시 이자소득세 15.4%가 면제된다는 점이에요. 세금 부담을 덜면서도 더 많은 저축액을 손에 쥘 수 있는 거죠.
3. 중도해지 시에도 일부 혜택 제공
5년을 채우지 못해도 걱정할 필요 없어요! 올해부터는 3년 이상 유지하면 기여금의 60%를 받을 수 있고, 비과세 혜택도 적용된다고 해요. 물론 5년을 채우는 것이 가장 좋지만, 중도 해지 시에도 일정 부분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에요.
4. 신용평가점수 가점
청년도약계좌를 성실히 납입하면 신용평가점수도 올라간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 최소 5점에서 최대 10점까지 가점을 받을 수 있어요. 향후 대출을 받을 때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답니다.
5. 부분인출 서비스
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를 대비해 2년 이상 납입한 경우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%까지 인출할 수 있어요. 다만, 중도 인출 시 일부 금리는 조정될 수 있고, 3년 미만 가입자가 인출할 경우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는 점은 유의해야 해요.

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
- 가입 대상
- 만 19~34세 청년
-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
-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자
- 국내 거주자
가입을 원한다면 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, 농협, 기업, 부산, 아이엠뱅크, 광주, 전북, 경남은행 등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 각 은행마다 금리가 다를 수 있으니 비교해 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.
청년도약계좌,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선택
목돈을 모으는 것이 쉽지 않은 요즘,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든든한 지원이 될 수 있어요. 높은 금리, 정부 기여금, 비과세 혜택까지 다양한 장점을 갖추고 있어 장기적인 재테크를 고민하는 청년이라면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죠? 지금 바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, 차근차근 목돈을 모아 보세요!